십성론

십성조합40. 비겁+식상

초심지키기 2024. 10. 16. 18:15

○ 비겁의 영향

• 비겁이 식신을 생하는 경우
비겁이 식신을 생하는 경우는 좋다.

• 비겁이 상관을 생하는 경우
비겁이 상관을 생하는 경우는 조금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나는 가만히 있는데 내가 사주에 가진 상관 비겁이 완전히 부추기는 것이다.

• 비겁과 상관의 부정적 영향
불법하자 해가지고 비겁이 상관을 생해 가지고 정관 때리는 것도 골치아픈 것이다. 친구 때문에 같이 구설수에 휘말리는 것이다.



○ 비겁, 상관, 재성의 관계

어떨 때는 비겁이 상관을 생하고 상관이 재성을 생하는데 재성이 나한테 들어오는 것은 아주 좋은 것이다.

• 비겁의 영향
비겁이 상관을 생한다.

• 상관의 영향
상관이 재성을 생한다.

• 재성의 영향
재성이 나에게 들어온다.
만약에 깡패다하면 밑에 부하를 시켜 수금하는 것이다. 재성을 얼마만큼 뜯어 먹느냐를 잘 봐야한다. 고만큼 딱 뜯어먹는다. 에누리 없는 것이다.



○ 사주에서의 재성과 상관견관

사주에 재성이 있으면서 상관견관: 목적이 뚜렸함. 재생관을 믿었는데 배신당함. 상관이 있고 정관이 있는데 중간에 재성이 있다는 것이다.

• 재성의 역할
재성이 실질적으로 통관을 못시켜 주는 경우가 있다.

• 재성의 위치
위치에 따라서 재성이 멀리 떨어져 있는 아래 사주의 경우다.

<예시>
ㅇ乙丙庚
ㅇ丑ㅇ戌

- 상관과 정관의 관계
병화 상관과 경금 정관이 너무 가깝다. 가까운 형태는 술토 정재와 축토 편재가 있어도 그런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지지에 재성이 있는데 그렇게 해석할 수 있다.



○ 재격의 특성
만약 재격이면 재성적인 목적은 뚜렷한데 상관견 관이 더 빠르다.

• 뚜렷한 목적
재격일 경우 재성적인 목적이 뚜렷하다.

• 상관견관의 속도
상관견관이 더 빠르게 작용한다.

• 균형
재성과 상관견관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