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관생재 3

십성조합41. 상관+재성

○ 상관과 재성의 기본 관계 상관 + 재성 : 지략을 부릴 일, 유통 득재할 일, 그동안 인기 있었던 일을 이용하여 득재한다. 상관이 관살을 본 경우하고 재성을 본 경우 상관이 재성을 본 경우는 지략을 부릴 일, 유통 득재 할 일, 그동안 인기 있었던 일을 이용하여 득재한다. ○ 상관의 특성 상관이 재주꾼이다. • 인성의 영향 상관에 인성을 달고 있으면 더 큰 재주꾼이다. • 상관과 관살의 관계 상관이 관살을 이기려면 모사해야 된다. 아부도 해야 되고 로비도 해야 된다. 상관 관살은 인간관계 쪽으로 머리가 획획 돌아간다. • 상관과 재성의 관계 그런데 상관이 재성 보면 완전히 번뜩이는 장사꾼이 된다. 유통이라든지 머리가 장사 쪽으로 획획 돌아간다. • 상관 + 관살 인간관계 쪽으로 머리가 획획 돌아간다...

십성론 2024.10.18

십성조합32_2. 식상+재성 Part2

○ 식신의 특성: 전문성과 안정성 식신이 관살을 본 것은 식신 내 기술로 관살 인기를 취하는 것이니까 일단 내 전문성으로 승부 보려고 한다. 손님한테 아쉬운 소리 못하는 것이다. 내가 식신으로 많이 퍼주기는 한다. 손님눈치 보지 않겠다는 것이다. 식신은 관찰이 부담스럽다. 관살이 감하면 손님 눈치보고 잘해 줘야 되니 스스로 스트레스 받는다. ○ 식신과 상관: 토끼와 거북이 비유 토끼와 거북이로 치면 식신은 거북이다. 토끼는 상관이다. 토끼와 거북이 중 누가 잘됐다 말할수는 없다. ○ 식신 vs 상관 상관은 에너지 막 소비해가지고 이일 저일 벌렸다 접었다를 반복하는 것이다. 결국 식신은 꾸준한 것이다. 식신 정재는 무슨 일을 하든 자리 잡으면 쭉 가는 것이다. 1년이든 2년이든 꾸준히 하는 헝태가 되는 것..

십성론 2024.09.19

십성조합32_1. 식상+재성 Part1

○ 식신의 특성 식신 생 정재: 점포업, 음식업, 세탁소(내가 직접 하는 것) 식신은 자기 기호성이다. 식신의 본능은 자기가 좋아야 된다. 내 자식 기르는 마음이다. 자기가 좋아야 된다. 자기가 싫으면 안한다. 자기한테 안 맞으면 안한다. ○ 상관의 특성 상관 생 정재 : 점포에서 유통업(달갈장사, 우유 보급소) 상관은 좋든 싫든 유행성을 따르거나 히트 칠거라면 습득력이 금방 배워 버린다. 상관은 좋으면 이것저것 다 배운다. 그래서 다재다능하다 ○ 식신과 상관의 학습 스타일 • 식신의 학습 스타일 식신은 한 가지 일을 배우면 깊숙하게 들어가는 형태인데 이것도 배우고 저것도 배우는 스타일은 아니다. 식신은 내가 싫으면 안 배운다. 그런 자기 기호성이 있다. • 상관의 학습 스타일 상관은 좋으면 이것저것 다..

십성론 2024.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