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재 4

십성조합23. 정재 VS 편재

○ 편재의 기본 특성 • 사업성과 운용 능력 편재는 재성을 운용, 관리, 응용하는 사업성이 많다. 이들은 돈을 벌면 더 불리려고 생각하며, 투자와 운용에 관심이 많다. • 관찰력과 분석력 편재 가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길거리를 돌아다녀도 "여기 얼마예요?", "가게 세가 얼마예요", "방이 몇 개지" 등을 물어보며 주변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 수익성 계산 편재는 "이게 수익이 이렇게 해서 요렇게 떨어지겠지"와 같이 수익성을 계산하는 습성이 있다. 이는 편재의 특징적인 사고방식이다. ○ 편재의 사고방식 • 관찰과 분석 편재는 어디를 가든 "맛있으면 하루 매출이 얼마 정도 되니까, 한 달 얼마 되겠다"라는 식으로 생각한다. 이는 편재의 특징적인 사고방식이다. • 투자 지향적 사고 천만원이 있으면 편재는 "..

십성론 2024.09.02

십성조합6. 정관+정재

○ 재생관의 정의 • 정관의 의미 정관이 있으면 재생관이다. 재생관이란 재성을 보호하는 법, 안정적 재성운용능력, 보존성, 고정성이다. • 은행의 특성 은행 같은 성분이다. 은행 같은 성분도 재생관. 첫째는 정관 정재가 있는 것이고 정관 편재가 있는 것이다. 정관은 어쨌든 법적인 보호망이다. • 재성 보호 재성을 지켜주는 법적 보호망이다. 통장도 사실은 정관이다. 그래서 나 아니면 못 찾는다. 금융실명제 해서 나 아니면 보호 못받는다. ○ 정관적 보호와 정재의 특성 정관적으로 보호 받은 것이다. 문서도 정관적으로 보호 받은 것이다. 보호받지 않은 돈은 정관이 없는 돈이다. 정재 정관은 꼬박꼬박 이니까 은행이다. 은행은 뭔가 돈을 보호해주고, 수수료 이자가 발생하는데 이 것이 정재의 모습이다. 정재 정관의..

십성론 2024.08.10

12운성 활용_정재 통변

○ 생극의 개념과 천간지지의 관계 • 생극의 적용 생극의 개념은 같은 천간은 천간끼리 지지는 지지끼리 적용합니다. • 천간과 지지의 관계 천간과 지지의 관계는 서로 생극하는 관계이기 보다는 '드러내고 사라지게' 하는 개념으로 이해를 하면 됩니다. • 12운성의 의미 그러한 관계를 정밀하게 표현한 것이 12운성이 됩니다. • 12운성의 표현 얼마만큼 드러내고 있는지, 얼마만큼 작용하는지, 얼마만큼 숨어있는지 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己일주의 정재 예시 • 절지 (巳화) 예를 들어 己일주에게 정재는 壬입니다. 壬수가 지지에서 巳화를 만나면 절지가 됩니다. 절지가 되면 돈이 '안보인다.' , '정체되어 있다.' , '사라졌다.' 라고 봅니다. 그러니 돈을 융통하려는 사람은 이 시기에는 돈의 융통이 원활하지..

사주 학습용 2024.08.02

12운성의 활용_정재/편재

ㅇ丁ㅇㅇ 甲 ㅇㅇㅇㅇ 辰년 • 정재 (庚금) 상기 남자분은 직장인입니다. 일간 입장에서 庚금은 정재가 됩니다. 정재 庚금은 세운지 辰에 12운성으로 양지(養地)가 됩니다. 그래서 이 사람이 직장인으로써 월급형태로 재산을 유지하고 있다면 대체로 금전적으로 안정적인 한해가 됩니다. • 편재 (辛금) 그런데 일간 입장에서 辛은 편재가 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사업성 재물, 투기재물이 편재입니다. 편재 辛금은 세운지 辰에 12운성으로 묘지(墓地)가 됩니다. 즉 묘지는 편재의 형태가 모두 망가져서 모습을 드러낼 수가 없는 상태가 됩니다. 分의 개념으로 표현하자면 편재가 활동할 수 없는 分입니다. • 결과 재테크로 주식투자를 하였습니다. 甲辰년에 주식투자로 크게 손해를 보았다고 합니다. 같은 재물운인데 왜..

사주 학습용 2024.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