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신 5

십성조합33. 식신과 상관의 차이

○ 식상 혼잡의 경우 식상 혼잡이 되어 있을 경우는 두 가지 다 한다.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하고 그런다. 기본적으로 식상 혼잡되면 투잡하거나 가게가 하나가 아니라 이일도 하고 저일도 한다. ○ 상관운의 영향 상관운이 오면 상관 짓을 한다. 사주에 식신을 쓰는데 상관 운이 왔다. 지금 하는 식신 행위를 바꾸고 상관 행위를 하는것이다. • 상관운 도래 사주에 식신을 쓰다가 상관 운이 오면 변화가 생긴다. • 행위 변화 식신 행위에서 상관 행위로 전환한다. • 새로운 기회 상관 짓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한다. ○ 상관운과 정관의 관계 상관 운이 오면 첫째는 정관의 모습을 잘 봐야한다. 편관이 있는가. 이것을 잘 봐야한다. 사주에 정관 있는데 상관운 오면 일단 안 좋다. 구설시비 이런 것들이 많이 벌어지는 ..

십성론 2024.09.20

십성조합21. 식신제살

○ 식신제살의 기본 특징 • 카리스마와 힘 식신제살은 카리스마가 있다. 식신제살은 뭘 요하냐면 신강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살을 제압하려면 식신이 힘이 있어야한다. 식신은 내 일간에서 힘이 나와야한다. • 전문성과 극복 식신은 전문성이 되니까 쉽게 애기해서 식신으로 제살한다. 살은 어려움이다. 반드시 극복해야 하고 물리처야 된다. 식신으로 나의 전문성으로 물리쳐야 된다. • 고지식함과 정의감 사실은 융통성이 굉장히 없는 스타일이다. 이러한 사람들이 핑장히 피곤하다. 식신제살은 신강을 요하니 건록이라든지 양인을 가진 스타일이다. 고지식한 군일 스타일이다. ○ 식신제살의 직업 성향 • 전형적인 직업 전형적인 식신의 스타일은 군인, 경찰, 검사이다. 그릇이 높으면 검사에 준한다. 운동, 교육, 컨설팅. 컨설팅..

십성론 2024.08.30

십성조합9_1.편관+식신

○ 식신의 정의와 특성 • 전문성 식신은 전문성이나 실력을 나타냅니다. 이는 개인의 능력과 지식을 상징합니다. • 계도 식신은 계도의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계도란 고쳐서 잘 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자기 무기 식신제살은 식신이 자기 무기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개인의 강점을 나타냅니다. • 교육과 컨설팅 식신은 남을 계도하거나 가르치는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문교육이나 컨설팅 분야와 연관됩니다. ○ 편관의 역할과 특성 편관을 제도하는 것은 기술영업, 컨설팅, 전문교육입니다. 편관은 무시무시한 것을 고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강력한 변화와 개혁을 상징합니다. 상관으로 편관을 대하는 것은 꼬시는 것입니다. 이는 변화를 유도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 식신제살의 특징..

십성론 2024.08.15

십성조합3.정관+식신

○ 양간의 정관과 식신 관계 ㅇ甲丙辛과 같은 양간의 경우, 식신이 정관을 볼 때 일간이 합을 이룹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관청 납품 • 기술 제공 (로비가 아닌 실력 기반) • 식품 납품 (관공서 등) ○ 음간의 정관과 식신 관계 ㅇ乙丁庚과 같은 음간의 경우, 식신이 정관을 대할 때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 깐족거림 식신이 정관을 깐족거리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더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나타냅니다. • 자존심과 명분 중시 음간은 식신의 자존심과 명분을 특히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는 행동의 정당성과 가치를 강조합니다. • 실력으로 승부 식신의 행동과 실력으로 정관과 승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능력과 성과를 통한 인정을 추구하는 모습입니다. • 공사 참여 정관..

십성론 2024.08.06

12운성의 활용_식신통변

ㅇ戊庚ㅇ ㅇㅇ寅ㅇ • 식신의 기본 의미 戊일간이 庚을 보면 식신이 됩니다. 식신 庚은 주로 전문기술, 생산, 제조, 요식, 교육, 예술, 문학 등을 의미합니다. • 식신 庚금과 寅목의 상호작용 庚이 지지에서 寅을 보면 절지가 됩니다. '안보인다', '사라졌다'의 의미가 됩니다. 지지에 힘이 없으므로 잘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 무형의 식신 식신을 행동력으로 사용할 수 없고 무형의 형태로만 사용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거의 순수 예술에 가깝습니다. • 정신적 형태의 식신 그래서 庚식신을 寅을 만나면 제조, 생산 형태의 식신이 아니라 무형의 정신적인 형태의 식신으로 사용을 합니다. ㅇ戊庚ㅇ ㅇㅇㅇ巳 • 庚과 巳의 관계: 장생지 庚이 巳를 보면 장생지가 됩니다. 양간의 장생지는 모양은 드러나 있지만 아직 힘은..

사주 학습용 202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