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 7

십성조합7. 정관+편재

편재 정관의 핵심 특성 ○ 가격대비 품질 만족도 편재 정관은 가격대비 품질 만족도를 중요시합니다. 이는 물질을 관리하고 통제하는 능력과 직결됩니다. 편재는 한 마디로 사업성이며, 정재가 경영이라면 편재는 사업입니다. • 재성의 운용능력 편재 정관은 재성의 유통, 관리, 확장적 운용능력이 뛰어납니다. 딱 보면 돈이 되는지 안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길거리를 지나가도 보여지는 모든 것을 경제적으로 연결하여 해석하려는 습관이 있습니다. • 현실적 능력 중시 애정도 상대방의 현실적인 능력(경제력)을 중시합니다. 편재는 가능성도 중요하지만, 정재는 그대로의 능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특성은 편재 정관의 가치관과 판단 기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편재 정관의 직장 선호도 • 직장인 성향 편재 정..

십성론 2024.08.11

십성조합6. 정관+정재

○ 재생관의 정의 • 정관의 의미 정관이 있으면 재생관이다. 재생관이란 재성을 보호하는 법, 안정적 재성운용능력, 보존성, 고정성이다. • 은행의 특성 은행 같은 성분이다. 은행 같은 성분도 재생관. 첫째는 정관 정재가 있는 것이고 정관 편재가 있는 것이다. 정관은 어쨌든 법적인 보호망이다. • 재성 보호 재성을 지켜주는 법적 보호망이다. 통장도 사실은 정관이다. 그래서 나 아니면 못 찾는다. 금융실명제 해서 나 아니면 보호 못받는다. ○ 정관적 보호와 정재의 특성 정관적으로 보호 받은 것이다. 문서도 정관적으로 보호 받은 것이다. 보호받지 않은 돈은 정관이 없는 돈이다. 정재 정관은 꼬박꼬박 이니까 은행이다. 은행은 뭔가 돈을 보호해주고, 수수료 이자가 발생하는데 이 것이 정재의 모습이다. 정재 정관의..

십성론 2024.08.10

십성조합5. 정관+비겁

○ 정관의 역할과 특성 정관은 일간을 이롭게 하고 적절히 통제하는 성분입니다. 규율의 상징인 정관은 비겁을 확실히 통제하면서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끌어줍니다. 이는 마치 안전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여, 과도한 행동이나 감정을 조절합니다. 정관은 편관과는 달리 일간을 해치지 않고 균형을 유지합니다. 이는 개인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안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성향을 발달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규율과 통제 정관은 일간과 비겁을 적절히 통제하여 균형을 유지합니다. • 안전밸브 역할 과도한 행동이나 감정을 조절하여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 책임감 증진 안정적이고 책임감 있는 성향을 발달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 균형 유지 일간을 해치지 않고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 비겁의 특성과..

십성론 2024.08.08

십성조합4. 정관+상관(상관견관)

○ 상관견관의 기본 특성 • 화려함과 대항 정간 대 상관 상관의 화려함으로 관에 적극적으로 대항하는 모습이다. 상관견관이라 하여 매사 불평불만이 많은 성격 이다. • 불법과 명분 나는 불법해도 명분이 있어 변명을 하지만, 남이 불법이면 그냥 두지 않는다. 관재, 구설시비가 끈이지 안는다. • 입바른 소리 입바른 소리를 잘해서 탈이다. 욕을 잘하고, 불만이 많고, 잘난 척, 스트레스를 풀 만만한 상대가 절실하다. ○ 상관견관의 행동 패턴 욕지 상관이 욕을 잘한다. 寅巳申 죽이고 살리는데 상관있으면 욕이 나온다. 상관은 잘난 칙 하 는 것이다. ㅇ甲丁辛 상관견관이다. 상관견관은 양간이 더 피해가 큰가? 음간이 피해가 더 큰가? 양간일때 상관견관 기질이 더 세다. 그래도 음간 상관견관도 만만치 않다. ○ 상관..

십성론 2024.08.07

십성조합3.정관+식신

○ 양간의 정관과 식신 관계 ㅇ甲丙辛과 같은 양간의 경우, 식신이 정관을 볼 때 일간이 합을 이룹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관청 납품 • 기술 제공 (로비가 아닌 실력 기반) • 식품 납품 (관공서 등) ○ 음간의 정관과 식신 관계 ㅇ乙丁庚과 같은 음간의 경우, 식신이 정관을 대할 때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 깐족거림 식신이 정관을 깐족거리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더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나타냅니다. • 자존심과 명분 중시 음간은 식신의 자존심과 명분을 특히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는 행동의 정당성과 가치를 강조합니다. • 실력으로 승부 식신의 행동과 실력으로 정관과 승부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능력과 성과를 통한 인정을 추구하는 모습입니다. • 공사 참여 정관..

십성론 2024.08.06

십성조합2. 정관+편인

○ 정관과 편인의 기본 관계 • 계모 같은 정관 편인 입장에서 정관은 계모다. 그래도 편관이 아닌 정관 계모다. 정관은 직접적으로 극하는 성분이 아니다. 정관은 계모 같은 역할은 하지만 아주 자극하지는 않는다. • 편관과 편인의 긴장 관계 편관은 편인을 사정없이 자극한다. 그래서 편관과 편인은 늘 긴장감이 있는 것이다. ㅇ癸辛己 편관 편인이다. • 식신의 영향 일지 卯 식신 있으면 인상이 좋아진다. 원래 식신 자체는 퍼 주는 것이니까 나는 참 다른 사람한테도 잘해 주고 부드럽게 해 주려고 하는 성분인데 편인 편관 때문에 까칠하게 보인다. ○ 편인과 편관의 관계 편인이 편관을 본다는 것은 계모 중에서도 나쁜 계모를 보는 것이니까 편하게 보는 것이 아니고 늘 긴장하게 보고 어렵게 보고 여차하면 나를 갈겨버리..

십성론 2024.08.05

십성조합1. 정관+정인

○ 정관과 정인의 기본 특성• 오리지널 양반정관과 정인은 오리지널 양반이다. 정통성, 장남이나 장녀, 정인의 자격을 가지면 좋다.• 공부의 중요성공부다. 관인상생 되면 주변에서 인정받는다. 모범생이다.• 인성의 강약인성의 강약을 구분헤라. 인성 다자는 관이 인성이 많으면 설기되 관이 약해 진다.• 식상 극복인성이 많으면 식상을 극한다. 편인이 식상을 극하는 것을 도식. 정인이 너무 많아서 식상을 극하는 것을 상진이라고 한다.• 인성의 영향과 상진 현상인성 다자의 특징인성이 많다는 것은 맨날 준비만 하다 끝난다는 것이다. 인성이 식상을 극하기 때문이다. 관은 설기 돼버리고 인성다자 머리는 좋은데 시험 보면 떨어진다. 용꼬리다.• 상진 현상정인이 상당히 강하면 상진 현상이 일어난다. 준비를 많이 한다는 것이..

십성론 2024.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