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론

십성조합6. 정관+정재

초심지키기 2024. 8. 10. 07:06

○ 재생관의 정의

• 정관의 의미

정관이 있으면 재생관이다. 재생관이란 재성을 보호하는 법, 안정적 재성운용능력, 보존성, 고정성이다.

• 은행의 특성

은행 같은 성분이다. 은행 같은 성분도 재생관. 첫째는 정관 정재가 있는 것이고 정관 편재가 있는 것이다. 정관은 어쨌든 법적인 보호망이다.

• 재성 보호

재성을 지켜주는 법적 보호망이다. 통장도 사실은 정관이다. 그래서 나 아니면 못 찾는다. 금융실명제 해서 나 아니면 보호 못받는다.



○ 정관적 보호와 정재의 특성

정관적으로 보호 받은 것이다. 문서도 정관적으로 보호 받은 것이다. 보호받지 않은 돈은 정관이 없는 돈이다. 정재 정관은 꼬박꼬박 이니까 은행이다. 은행은 뭔가 돈을 보호해주고, 수수료 이자가 발생하는데 이 것이 정재의 모습이다. 정재 정관의 모습이 은행의 모습이다.


○ 정재 정관의 성격 특성

• 철저한 관리

철저한 금전관리, FM이다. 현실적 모범생이다. 샤프 깔끔은 정재 정관이다. 그게 정관 정재다. 사주에 그게 있어서 그렇다.

• 원칙주의

원리원칙 고지식, 융통성 부족, 똑 소리가 난다. 정재 정관 월지가 정재격이면 똑순이다.

• 책임감

정재 기질이 알뜰살뜰이다. 거기다 관성이 강하다. 책임감이다. 확실한 사람이다.



○ 정재 정관의 사례

丙庚己乙
戌午卯卯

庚금이 정재卯, 정관午까지 있다. 정재 정관이다. 똑 소리 난다. 공무원이다. 옛날 같으면 똑 소리도 나면서 현모양처다. 신사임당 같은 스타일이다.



○ 정재 정관의 경제 성향

• 절약과 저축

자신의 물건을 아끼고, 절약하고, 저축을 좋아 한다. 무모하지 않고 경험과 결과를 중시하며 무리한 모험을 하지 않는다. 정재 정관만 있을 경우 그렇다.

• 균형 잡힌 지출

정재는 무모하지 않다. 정인은 안 아끼는 것이다. 편인은 아끼는 것이다. 진짜 틀리다. 정재는 절대 무모하지 않다. 상대방이 만원 쓰면 자신도 정확히 만원만 쓴다.

• 계산적 성향

정재성향일 뿐이다. 다른 것이 있으면 마음약해진다. 정재는 그런 본성이 있다. 은근히 계산한다. 따진다. 내가 만원 도와줬는데 상대방이 얼마 도와줬는가를 은근히 따진다. 이게 정재다.



○ 정재와 편재의 차이

정재가 있고 편재가 있으면 아끼기도 하고 모험하기도 한다. 정재는 무모하지 않다. 정인은 안 아끼는 것이다. 편인은 아끼는 것이다. 진짜 틀리다. 정재는 절대 무모하지 않다.

'십성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조합8. 편관+정인/편인(살인상생)  (0) 2024.08.12
십성조합7. 정관+편재  (0) 2024.08.11
십성조합5. 정관+비겁  (0) 2024.08.08
십성조합4. 정관+상관(상관견관)  (0) 2024.08.07
십성조합3.정관+식신  (0)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