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관견관의 기본 특성
• 화려함과 대항
정간 대 상관 상관의 화려함으로 관에 적극적으로 대항하는 모습이다. 상관견관이라 하여 매사 불평불만이 많은 성격 이다.
• 불법과 명분
나는 불법해도 명분이 있어 변명을 하지만, 남이 불법이면 그냥 두지 않는다. 관재, 구설시비가 끈이지 안는다.
• 입바른 소리
입바른 소리를 잘해서 탈이다. 욕을 잘하고, 불만이 많고, 잘난 척, 스트레스를 풀 만만한 상대가 절실하다.

○ 상관견관의 행동 패턴
욕지 상관이 욕을 잘한다. 寅巳申 죽이고 살리는데 상관있으면 욕이 나온다. 상관은 잘난 칙 하 는 것이다. ㅇ甲丁辛 상관견관이다.
상관견관은 양간이 더 피해가 큰가? 음간이 피해가 더 큰가? 양간일때 상관견관 기질이 더 세다. 그래도 음간 상관견관도 만만치 않다.

○ 상관견관과 정인의 관계
• 정인 관찰
상관견관일때는 항상 정인을 봐야한다.
• 편인과의 관계
상관이 편인을 보면 어떻게 되는가. 관을 이용해 먹으려고 한다.
• 결과
항상 정인이 패인이 안되면 상관견관은 관재구설, 시비 반드시 일어난다.

○ 상관견관의 논리적 성향
사주에 상관견관이 있으면, 상대방의 말이 논리적이지 않거나 순간적으로 기분이 나빠지면 논리적으로 따지며 대든다. 상관견관 가진 사람은 자기주장이 일반사람 보다도 더 크다.
자기주장이 강하다보니 그것을 따지고, 자주 열 받으니 시비구설이 다른 사람에 비해서 불만이 많아진다.

○ 상관견관의 관찰력
• 예리한 관찰
상관 가지면 꼭 남이 잘못을 저지르거나 조금만 싸가지 없게 행동하면 귀신 같이 안다. 그것이 상관견관이다.
• 긍정적 측면
상관견관을 나쁘다고 하지 마라.
• 정인의 중요성
癸甲丁辛 이 사주에서 정인은 癸수다.
○ 오행과 상관견관의 관계
壬乙丙庚 이 사주에서 정인은 壬수다. 이것은 뭐냐면 사실은 오행적으로 보면 丙화가 庚금을 키우는 것이다. 부피를 키우는데 壬수 물이 없으면 제대로 안 큰다는 것이다. 말라 비틀어진다는 것이다.
인성 물이 없으면 庚금이 완전히 찌그러져 버리는 것이다. 물까지 있으면 庚금이 굉장히 잘 큰 다는 것이다. 그래서 정인이 상관이 있으면 庚금 정관이 굉장히 커진다는 뜻이다.
• 壬 (물)
음간의 시작
• 乙 (목)
음간의 중간
• 丙 (화)
음간의 변화
• 庚 (금)
음간의 결과
'십성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조합6. 정관+정재 (0) | 2024.08.10 |
---|---|
십성조합5. 정관+비겁 (0) | 2024.08.08 |
십성조합3.정관+식신 (0) | 2024.08.06 |
십성조합2. 정관+편인 (0) | 2024.08.05 |
십성조합1. 정관+정인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