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론

십성조합8. 편관+정인/편인(살인상생)

초심지키기 2024. 8. 12. 06:52

○ 편관 정인과 편관 편인의 기본 특성

• 편관 정인

편관 정인은 밖으로 향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봉사성이 강하며, 대중을 위한 대승불교적 접근을 취합니다. 편관을 이해하려는 마음과 측은지심이 특징입니다. 오지랖이 있어 남의 부탁을 냉정하게 끊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편관 편인

편관 편인은 자신을 위한 살인상생을 추구합니다. 세상의 편인 불만과 편관 어려움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를 위해 도를 닦는 소승불교적 접근을 취합니다. 외로운 편인으로서 무서운 편관의 눈치를 보는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 봉사성의 차이

• 편관 정인의 봉사성

편관 정인은 완전한 오지랖을 보입니다. 정품 봉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정이 많습니다. 남을 위해 봉사하는 대승불교적 접근을 취합니다.

• 편관 편인의 봉사성

편관 편인은 봉사를 하고 싶은 마음은 있지만, '내 코가 석자'라는 태도를 가집니다. 측은지심과 봉사성은 있지만, 자신의 기준으로 확실히 불쌍한 사람만을 도와줍니다. 이것이 봉사성에 대한 브레이크 역할을 합니다.



○ 편관에 대한 태도 유형

• 편관 정인

칼을 마음으로 받아들입니다. 감성적으로 칼을 대합니다.

• 편관 편인

칼에 대해 민감합니다. 자신을 칠지도 모른다고 생각하여 경계합니다.
편관의 칼은 칠살입니다. 편관 정인은 이를 감성적으로 받아들이는 반면, 편관 편인은 자신을 해칠 수 있는 위협으로 인식하여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카리스마의 특징

• 편관 정인의 카리스마

귀여운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습니다. 직구와 같은 직접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 편관 편인의 카리스마

절제된 카리스마를 보입니다. 야구의 변화구와 같이 변화가 있는 접근 방식을 사용합니다. 편관 편인의 절제된 카리스마는 일간의 강약, 건록이나 양인의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강하면 절제된 카리스마가 되고, 약하면 소심해집니다.



○ 살인상생의 의미와 영향

살인상생은 편관 정인과 편관 편인 모두에게 적용되는 개념입니다. 이는 각자의 방식으로 세상과 상호작용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편관 정인은 대중을 위한 봉사와 이해를 통해, 편관 편인은 자기 수양과 신중한 접근을 통해 살인상생을 실천합니다. 두 유형 모두 자신의 특성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살인상생의 두 유형은 각각의 고유한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편관 정인의 봉사성과 직접적인 접근, 편관 편인의 신중함과 절제된 카리스마는 모두 가치 있는 특성입니다.

'십성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조합9_1.편관+식신  (0) 2024.08.15
십성조합9. 편관+식상  (0) 2024.08.13
십성조합7. 정관+편재  (0) 2024.08.11
십성조합6. 정관+정재  (0) 2024.08.10
십성조합5. 정관+비겁  (0) 2024.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