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론

십성조합12.관+식상 구조에서 인성운,재성운

초심지키기 2024. 8. 19. 16:23

○ 여명사주와 비겁의 의미

여명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남편이 나보다 다른 여자를 더 사랑한다. 그럴 가능성이 많은 것이다. 여자 사주에 월간에 비견있다. 근묘화실로 보면 한창 연애할 때이다. 연애할 때 비견이 차지하는 것이다. 나 대신 관성이 있으면 특히 여자사주 월간에 비견이 있으면 초년 연애 운이 안 좋다. 결혼을 하면 불안해 진다. 기본적으로 불안요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 비겁의 영향

여명사주에 비겁이 많으면 배우자의 애정이 다른 곳으로 향할 수 있습니다.

• 월간의 비견

여자 사주의 월간에 비견이 있으면 연애 시기를 나타냅니다.

• 초년 연애운

관성이 있고 월간에 비견이 있으면 초년 연애 운이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결혼 후 불안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결혼 후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辰과 丙화의 의미

사주에 辰이 많고 丙화를 보면 키가 크다. 십이운성 개념으로 병화가 한창 떠오를 때가 辰이다. 辰토에 丙화가 있으면 확 올라간다.

• 辰의 의미

사주에 辰이 많으면 키가 큰 경향이 있습니다.

• 丙화의 역할

丙화는 성장과 상승을 상징하며, 특히 辰과 함께 나타날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 십이운성 개념

십이운성에서 辰은 丙화가 가장 활발히 작용하는 시기를 나타냅니다.



○ 식상과 관성의 관계

왕한 식상이 약한 관성을 극할 경우 재성운이 우선한다. 식상이 왕하고, 관성이 있으면 제살태과다. 이런 경우 운을 볼 때 인성이 와서 식상을 제어해주는 운도 있고, 재성이 와서 중간에 끼어서 식상생재 재생관 하는 운이 있다. 어떤 운이 더 우선하느냐? 재성 운이 더 우선한다. 인성이 와도 식상이 왕하면 다 제압하지 못한다. 운의 차이다.

• 식상과 관성의 균형

식상이 강하고 관성이 약할 때, 재성운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인성의 영향

인성이 오더라도 강한 식상을 완전히 제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재성운의 우선순위

재성운은 식상과 관성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제살태과

식상이 강하고 관성이 있을 때 제살태과다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정관과 편관의 차이

관성이 정관이냐 편관이냐 이 문제가 있다. 식상이 왕한데 관성을 치면 성질났을때 관성을 완전히 관성을 무시하는 것이다. 여자사주에 식상이 왕하고 관성이 있으면 남자 무시하는 것이다. 재성운이 오면 재생관하면 관성이 살아난다. 정관이 있는 경우는 재성운이 아주 좋다. 편관이 있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재생살은 스트레스 받는다.



○ 재성운과 인성운의 영향

식상이 왕한데 관성이 약한 상태에서 재성이 오면 관성에 힘이 들어간다. 그런 형태에서 좋아지는데 정관인 경우가 재성 운이 더 좋고, 펀관인 경우는 재생살적인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식상 왕, 관성 약 이런 구조에서 인성 운이 오면 좋다는 개념이 아니라 반성하는 개념이 된다. 인성으로 조심하는 개념이다. 육친적으로는 공부를 새롭게 하는 그런 운이다.

• 식상 왕, 관성 약

재성운일때 관성에 힘을 줌. 정관일 때 더 유리

인성운일때 반성과 자기 개발의 시기



○ 재성운과 인성운의 영향 계속

인간의 본성으로 볼때는 재성운이 좋지 않다. 돈이다. 인성은 공부다. 자기 자신의 업그레이드다. 식상이 왕하니까 이러면 안 되겠다 반성하거나 뭘 배우거나 이런 형태가 된다. 관인소통으로 직장을 다니게 되면 인성이 있는데 또 인성운이 왔다. 식상이 왕하면 관성이 약한데  인성운이 오면 관설이 된다. 관성을 인성이 쪽 빨아먹는다. 관인소통하면서 직장 다니는데 그럴 땐 완전히 자숙하라는 의미다.

• 재성운

돈과 관련된 운. 인간의 본성적 측면에서는 좋지 않을 수 있음.

• 인성운

공부와 자기 개발의 시기. 반성과 학습의 기회.

• 관인소통

직장 생활과 관련. 인성운이 오면 자숙이 필요할 수 있음.




○ 직장과 운의 관계

인성이 식상을 극하면 조심할 것이다. 조심하면 관인소통을 이루는데 관이 강하면 상당히 좋은데 직장 다니는 것이다. 그러나 관이 약하면 인성이 또 설기해 버린다. 그러면 어떤 현상이냐면 직장을 다니는데 직장이 부실하다. 재성이 받쳐주지 않는 직장은 봉급이 작다는 것이다. 재생관이 된 직장은 그나마 월급이 많은 곳에 들어간다. 재성이 약하면 허관이다. 월급도 별로고 직장도 부실한데 다니면서 인성운이 오면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다. 직장 다니는데 박봉 쪼개서 공부에 쓰는 현상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제살태과다. 성향적으로 성질나면 남자 작살내는 것이다.

• 관이 강한 경우

직장 생활이 안정적이고 좋은 조건을 가질 수 있다.

• 관이 약한 경우

직장이 부실하거나 봉급이 작을 수 있습니다.

• 인성운의 영향

어려운 직장 환경에서도 공부와 자기 개발에 집중하게 됩니다.

• 제살태과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감정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