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론

십성조합14. 정관격의 재극인

초심지키기 2024. 8. 22. 18:05

○ 정관격과 재생관의 개념

정관격의 재극인이다. 정관이 있고 정관을 생해주는 재성이 있다. 이것을 재생관이라고 한다. 관이라는 것은 내가 정관격에 직장을 다닌다면 사주에서 재성이 정관을 생해주는 구조는 월급과 부하가 많다. 관성을 생해주는 것이 재성이다. 재생관이 되면 관이 튼튼한 관이다.




○ 재극인의 영향과 문제점

정관격에 재성이 생해주는데 재성이 인성을 극할 수 있다. 직장 내에서는 재성이 부하다. 재성이 충을 맞거나하면 정관이 뿌리가 없어지는 개념이다. 직장 다니는 사람은 부하가 말썽을 부린다. 직장 내에서 관이란 것은 내 위치인데 내 위치가 불안해진다. 나를 보조해주는 내 부하라든지 이런 게 재성이 될 수 있다.



○ 재극인과 진급의 관계

재극인 당하면 부하라든지 월급이라든지 재극인 운에는 절대 진급이 안 된다. 관이 무너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재가 얻어맞으면 관이 무너진다는 개념으로 보라. 재극인은 전형적으로 육친관계로는 고부갈등이다. 남자사주에 재성은 부인이다. 인성은 어머니다. 사주에 재성과 인성이 충돌하면 고부갈등이 일어난다.



○ 정인 정재의 특성

재극인 중 가장 안 좋은 형태는 정인 정재다. 편재가 와서 정인을 자극하면 정인이 머리를 굴린다. 괜찮은 머리를 굴린다. 정인을 정재가 자극하면 어린애가 돈을 보는형태가 된다. 재극인 되면 인간적으로도 실망을 굉장히 많이 한다. 정인이 있는데 편재가 와서 재극인하는 것보다 정재가 와서 재극인 하면 치명적이다.

• 정인의 특성

정인은 생각과 지성
편재의 자극으로 머리를 굴림

• 정재의 영향

정재가 정인을 자극하면 어린아이가 돈을 보는 것과 같은 상황

• 재극인의 결과

인간적으로 큰 실망을 하게 되며, 특히 정재로 인한 재극인은 매우 치명적



○ 재극인의 심리적 영향

정인들은 정재한테 두들겨 맞으면 재극인은 뭔가? 인성은 생각이고 재성은 판단이다. 재극인은 인성으로 결과를 판단하는 것이다. 결과를 판단하는 것은 어떻게 될 것이다, 쉽게 말해서 계산기를 두들기는 것이다. 정인 정재는 어떤 현상이 일어 나는가 하면 정재가 와서 정관을 생해주면 또 틀려진다. 정관이 없는 상태에서 재극인이 되면 굉장히 안 좋다. 정인은 마음이 있는데 정재가 와서 때리면 내 마음 같지 않은 사람들이 무지하게 많은 것이다. 완전 속상해하고 완전 실망한다.



○ 재극인과 윤리적 문제

정인 정재가 잘못 이루어진 구조는 사기성이 생긴다. 왜 사기성이 생길까. 재성에 대해 감당을 못한다. 어린이가 저것 살거니까 돈 좀 줘봐. 빌린다. 그리고 안 갚는다. 그러니 사기꾼이 된다. 정인도 그런식 으로 잔머리를 굴리게 된다. 정인 정재에서 공무원이면 정재 들어오면 뇌물 받는 형태가 된다. 직장 잘 다니는 사람이 재극인 운오면 뇌물을 받거나 편법을 쓰거나 한다. 이런 것을 해서 걸린다. 정인 정재가 있으면 도박도 된다. 겁살 있으면 도박도 한다. 직장 다니는 사람은 뇌물 받거나 잔머리 쓰는 것이다. 재극인이 그런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 사기성 발생

재성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으로 사기 행위가 발생 가능성 높음

• 뇌물과 편법

공무원이나 직장인이 뇌물을 받거나 편법을 사용하는 경향 존재

• 도박 성향

정인 정재 구조에서 도박 성향 나타날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