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성론

십성조합16. 인수+상관 특성

초심지키기 2024. 8. 24. 15:41

○ 관약에 정인 + 상관의 특성

• 학습과 경험

관약에 정인 + 상관은 학습과 경험으로부터 직업을 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계획적인 진행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 공부의 중요성

관인이란 것은 공부하는 것입니다. 이는 지속적인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효과의 지연

다만 늦게 효과가 나타납니다. 이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식상생재와 약한 관성의 특징

• 식상생재의 특성

식상생재는 바로 현실로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 이는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냅니다.

• 약한 관성의 접근

약한 관성에서 정인이 상관을 쓰면 공부를 오래 꾸준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바로 바로 배우면서 쓴다는 것입니다.



○ 관약에 편인 + 상관의 특성

• 조심스러운 접근

조심조심, 머리 굴리며 때를 기다리다 기회를 놓칩니다.

• 여우 같은 성격

편인 상관은 무조건 여우입니다. 간 잘 봅니다.

• 손오공 기질

편인으로 '상관은 손오공 기질이니까 간을 기가 막히게 봅니다.



○ 편인 상관의 성격 특성

• 의심과 경계심

편인은 의심이 많고 경계심이 많고 간보는 스타일이고 눈치도 굉장히 빠릅니다.

• 자기 기만

자기 꾀에 자기가 속아 넘어갑니다.

• 독 묻은 화살 비유

편인 상관이 어느 정도냐면 독 묻은 화살이 박혔다. 정인 같은 경우는 아프니까 얼른 뺀다. 편인 상관은 이 화살의 재료는 무엇일까 인간이 누구일까 막 궁금해 한다. 그러다 가는거다.



○ 편인 상관의 행동 특성

독 든 화살을 빨리 빼내야 한다. 이 활을 누가 쌌을까 그런 어리석은 것이 있다. 딱 봐서 어떨 땐 거짓만 살짝 친다. 편인 상관은 화살 맞았는데 이 화살의 재질은 무엇일까 그런데 죽는 것이 다. 그것이 편인 상관은 자기 꾀에 자기가 속아 넘어가는 것이다. 편인 상관 대단하다.

• 관인소통 거부

관인소통을 절대 안하려고 한다.

• 상관으로 관성 조절

편인 상관있다면 상관으로 관성을 가지고 놀려고 한다.



○ 정인 상관의 접근

정인 상광은 관성을 받아들여가지고 상관을 다스려서 관성을 좋게 만드는 성분이다.

○ 편인 상관의 대인 관계

왜 편인적인 관성은 계모니까 믿을 수가 없다. 그런 본성을 가지고 있다. 편인 상관 상담하러 오면 안 좋은 소리해서 돌러보낸다. 조심조심 머리 굴리다가 기회를 놓친다. 남자를 만나도 자기 딴에는 똑똑한 것이다. 딱 보면 압니다. 사실은 멍청한 짓을 하는 것이다. 그런 스타일의 여자를 누가 좋아하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