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신의 정의와 특성
• 전문성
식신은 전문성이나 실력을 나타냅니다. 이는 개인의 능력과 지식을 상징합니다.
• 계도
식신은 계도의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계도란 고쳐서 잘 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자기 무기
식신제살은 식신이 자기 무기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개인의 강점을 나타냅니다.
• 교육과 컨설팅
식신은 남을 계도하거나 가르치는 본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전문교육이나 컨설팅 분야와 연관됩니다.

○ 편관의 역할과 특성
편관을 제도하는 것은 기술영업, 컨설팅, 전문교육입니다. 편관은 무시무시한 것을 고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강력한 변화와 개혁을 상징합니다.
상관으로 편관을 대하는 것은 꼬시는 것입니다. 이는 변화를 유도하는 방식을 나타냅니다.
○ 식신제살의 특징
• 전문성 있는 교수
식신제살이 원래는 전문성 있는 교수입니다. 이들은 높은 수준의 지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 자부심
식신제살은 자기 식신에 대한 자부심이 있습니다.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 스타성
식신제살은 스타성이 있습니다. 사주가 좋으면 일등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홈런타자
식신제살은 홈런타자와 같습니다. 한번은 일등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상관대살과 식신제살의 비교
• 상관대살
상관은 잘 난 것을 뽐내는 것이며, 명예욕이 강합니다. 유흥성으로 무조건 잘난 척 해서 알아달라고 합니다. 상관대살은 안타와 같아 타율이 좋습니다.
• 식신제살
식신제살은 뽐내는 것이 아닙니다. "너희들이 알아서 받들어라. 알아서 인정해 주라. 나는 이것만 한다."라는 태도를 가집니다. 식신제살은 홈런타자와 같습니다.
• 공통점
둘 다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지만, 그 표현 방식이 다릅니다. 상관과 식신제살 모두 사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상관견관과 혁명
상관이 편관을 봐서 식상이 혁명이고 5.16입니다. 이는 강제성을 띱니다. 상관견관 했을 때 인성이 강하면 4.19와 같은 의거가 됩니다. 이는 인성에 호소하고 바름에 호소하는 형태입니다.
상관은 반드시 정인이 있어야 합니다. 정인이 없는 상관견관은 불법, 탈법으로 이는 말 그대로 난동입니다. 예를 들어, 일본인 입장에서 안중근이 폭탄 터트린 것은 상관견관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식신제살의 성공 조건
• 자기계발
살은 일간에게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제압하려면 자기계발에 힘써 남들보다 부지런해야 됩니다. 식신이 준비를 잘 해야 합니다.
• 건록 뿌리
일간이 생하는 식신이여야 되고 나의 건록 뿌리를 갖추면 확실하게 됩니다. 이는 천하무적의 상태를 만듭니다.
• 업그레이드
자신을 업그레이드 시키면 난공불락의 인물이 되어 유명인도 될 수가 있습니다.

○ 편관과 식신의 균형
편관도 강해야지 뿌리가 없으면 능력이 있는 경찰이 좀 도둑 잡는 것과 같습니다. 편관도 뿌리가 있으면 검사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편관이 강하고 식신이 약하고 뿌리가 없으면 칼 놓고 싸울 준비했는데 너무 약한 상태입니다. 이는 칼을 놓고 도망간 것과 같습니다. 괜히 건드렸다가 작살나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일간과 식신이 약하면 편관을 봤을 때는 인성이 도움이 안 됩니다. 인성이 많으면 도식해 버립니다. 구조상으로 일간이 식신을 생하는 건지 그런 것을 잘 봐야 합니다.

○ 편관과 비겁의 관계
편관을 본 비겁이 식신을 생하면 그들도 함께 일간의 업적을 추앙하게 됩니다. 그릇이 조금 커지려면 일간도 건록이 있고 식신도 비겁이 있으면 일간이 식신도 생하고 비겁도 식신을 생하면 그릇이 더 커집니다.
이는 사주에 세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 혼자 싸우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도 싸워 준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개인의 성공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됩니다.
'십성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조합 10. 편관+재성(재생살) (0) | 2024.08.17 |
---|---|
십성조합 9-2. 편관+상관(상관대살) (0) | 2024.08.16 |
십성조합9. 편관+식상 (0) | 2024.08.13 |
십성조합8. 편관+정인/편인(살인상생) (0) | 2024.08.12 |
십성조합7. 정관+편재 (0) | 2024.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