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관과 편관의 기본 특성
상관 편관은 말 그대로 로비 기질이다. 외교 기질이다. 이들은 주로 말과 작전을 통해 상대방을 제압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식신제살이 몸이나 무기로 제압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 로비 기질
상관과 편관은 주로 말과 설득력을 통해 영향력을 행사한다.
• 외교적 성향
상황을 유연하게 대처하고 타협점을 찾는 능력이 뛰어나다.
• 언어적 제압
상관합살은 말이나 작전으로 상대방을 제압하는 특성을 가진다.

○ 상관대살과 상관합살의 차이
• 상관대살 (양간)
현란하고 화려한 말씀씨가 뛰어나다. 카리스마가 더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화 상관을 말빨로 겁주고 달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 상관합살 (음간)
애교와 유혹, 매력적인 말씀씨가 특징이다. 논개 기질이 있으며, 편관을 확실하게 말빨로 합해버린다. 병화 상관이 신금 편관을 합으로 묶어버리는 구조다.

○ 갑목의 상관 편관 관계
ㅇ甲丁庚 ㅇㅇㅇㅇ 갑목이 상관 편관을 봤다. 이는 양간인 경우다. 상관으로 편관을 제압하는 상관대살 구조다. 이 구조에서는 정화 상관이 말빨로 상대방을 제압하는 특성이 나타난다.
○ 을목의 상관 편관 관계
ㅇ乙丙辛 ㅇㅇㅇㅇ 상관합살이다. 음간은 논개 기질이 있다. 외교다. 음간은 좀 더 편관을 확실하게 말빨로 합해버린다. 이 구조에서는 병화 상관이 신금 편관을 꼬시는 특성이 나타난다.

○ 상관대살과 상관합살의 특징 비교


○ 상관 편관의 융통성
식신제살에 비해서는 융통성이 있다. 상관과 편관의 관계는 말과 설득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상황 파악
상대방의 성향과 상황을 정확히 파악한다.
• 전략 수립
파악한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접근 전략을 세운다.
• 유연한 대응
상황에 따라 카리스마나 애교를 적절히 사용한다.

○ 식상과 편관의 관계
식상이 편관을 보면 일간의 능력인 건론이나 인성을 반드시 살펴야 한다. 이는 상관과 편관의 관계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더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능력을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 능력 중시
식상은 편관을 볼 때 실제적인 능력을 중요하게 여긴다.
• 건록 有無
일간의 건록 유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 인성 고려
개인의 인성도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한다.
'십성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십성조합11.편관+비겁 (0) | 2024.08.18 |
---|---|
십성조합 10. 편관+재성(재생살) (0) | 2024.08.17 |
십성조합9_1.편관+식신 (0) | 2024.08.15 |
십성조합9. 편관+식상 (0) | 2024.08.13 |
십성조합8. 편관+정인/편인(살인상생) (0) | 2024.08.12 |